카테고리 없음

≪강릉영동대학교≫ 유해물질 취급 시 주의

티s토리 2024. 5. 11. 02:05

안녕하세요! 오늘은 연구실 내 유해물질 과 관련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. 

유해물질..말만 들어도 약간 긴장되고 무섭지 않으신가요? 

그렇게 생각하고 계시다면 무섭지 않게 제가 잘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!

 

 


 

상황 1. 유해물질 운반

- 유해물질을 운반할 때 손으로 운반하는 경우 운반 용기에 넣고 운반하고 넘어지거나 깨지지 않도록 주의

- 손으로 운반하는 경우 피부에 닿을 위험이 있다면 보호장갑 사용

- 바퀴가 달린 수레로 운반할 경우 수레의 바퀴를 잘 확인하고, 가야할 길이 평평한지 확인

상황 2. 유해물질 취급

- 유해물질을 사용할 때는 가능한 한 소량을 사용.

- 화재폭발의 위험이 있는 실험의 경우, 폭발방지용 방호벽 등 특별한 방호설비를 갖추고 실험에 임해야 함.

- 유해물질의 폐기물의 처리는 수질오염, 대기 오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.

 

상황3. 유해물질의 안전조치

  • 독성
  • - 자신이 사용하는 물질의 독성에 대하여 사전 지식을 지녀야 함.
  • -독성물질을 취급할 때는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함.
  •  
  • 산과 염기물
  • - 항상 물에 산을 가하면서 희석하여 사용, 염기는 반대로 물에 희석하면 안됨.
  • - 강산과 강염기는 공기 중 수분과 반응하여 치명적 증기를 생성시키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뚜껑을 닫아 놓아야함.
  •  - 산이나 염기가 눈이나 피부에 묻었을 때 즉시 세안장치 및 샤워장치로 씻어내고 도움을 요청하도록 한다.
  • - 과염소산은 강산의 특성을 띠며 유기화합물 및 무기화합물과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으며, 가열, 화기와 접촉, 충격, 마찰에 의해 스스로 폭발하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.
  •  
  •  산화제
  • - 강산화제는 매우 적은 양으로 강렬한 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방호복, 고무장갑, 보안경 및 보안면 같은 보호구를 착용하고 취급하여야 한다.
  •  
  • 금속분말
  • - 초미세한 금속분진들은 폐, 호흡기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미세분말 취급시 방진마스크 등 올바른 호흡기 보호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.
  •  - 많은 미세 분말들은 자연발화성이며 공기에 노출되었을 때 폭발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주의 하여야 한다.

상황 4. 유해물질의 저장

- 모든 유해물질은 지정된 저장공간에 둔다.

- 모든 유해물질은 약품이름, 소유자, 구입날짜, 위험성, 응급절차를 나타내는 라벨 부착.

- 유해물질은 직사광선을 피하는 곳에 둔다.

 


 

오늘은 유해물질과 관련된 내용들을 다루어봤습니다! 

어떠신가요? 어렵지 않으시죠?????????

 

생각보다 우리 연구실 내에서는 유해물질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. 

위험하다는 걸 알면서도 마음속에서는 "나는 괜찮겠지?"," 무슨 일 일어나겠어?"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.

하지만 그런 안일한 생각 하면 안된 다는 거 아시죠? 모두모두 다 안전할 것이라는 보장 없다는 거 꼭 기억해주세요.

 

그럼 오늘의 글도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